통계 지표
는 현재 한국
의 경제 상황을 확인 하는 것이 보다 객관적인 사고
를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. 그래서 경제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몇가지 주요 지표 들에 대해서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비정규직 비율의 증가
비정규직 근로자와 정규직 근로자 사이에는 임금 등에서 보상의 차이가 존재합니다. 비정규직 비율이 36.4%에 해당합니다. 비정규직의 발생 배경은 경제의 불확실성
입니다.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인해, 비정규직 비율이 높아지면 기업 관점에서 기술 축적
을 방해하고, 노동자 관점에서는 고용불안
을 가져다 줍니다. 요즘 코로나
상태로 인해 세계 경제가 꽁꽁 얼어 붙고, 소비가 위축되면서 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태입니다. 기업 입장에서 수요를 예측 할 수 없어, 생산
량을 어떻게 조절이 어렵게 되었습니다. 이는 채용 시장에도 영향을 미쳐 비정규직
비율을 높이는 상황입니다.
경제 성장률을 높이려면 국가 전체의 비정규직 비율을 줄여, 기업 생산량을 높여, 수입/수출의 안정화, 환율의 안정화를 통해 기업 환경을 좋게 만드는 노력이 필요할 것 입니다.
출산율 통계
출산율은 국가 경쟁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지표입니다. 국가의 노동을 책임지는 젊은이가 많아져야 경제 생산활동이 안정적으로 이뤄져, 경제 활성화가 지속 가능하게 됩니다. 그런데 **세계은행 (2016)**에서 발표한 자료를 따르면 200개국중에 대한민국의 출산율은 200위입니다. 출산율 1.3 이하를 기록해 초저출산국가(ultra-low birth rate societies)로 분류되었습니다. 아래 내용은 통계청의 통계와 세계정부기구통계입니다.
심지어 2019년 통계에 따르면 출산율 0.98명으로 세계 유일의 출산율 0명대의 나라가 되었습니다. 사실 한국은 2006년 부터 1차~3차에 걸처 약 200조원의 출산 예산을 투자하였지만,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습니다.
저출산의 배경을 보면 경제적 어려움
이 있습니다. 이로 인해 전형적인 가족 모델이 해제된 대에 기인합니다. 여성의 사회 진출이 많아지면서 아버지가 생계 유지자로, 어머니가 가사 담당자로 되는 구조가 무너진 것 입니다. 출산율을 높이려면 보육 서비스를 제고하고, 가족 모델이 해체 디지 않도록 전반적인 산업구조가 출산 장려
와 출산 안정
지원을 위한 정책으로 전환이 되어야 할 것 입니다.
GDP 통계
GDP는 국민 총생산량(외국인의 국내 생산량 포함)으로 한 나라 안에서 새롭게 생산된 최종 생산물의 가치를 시장 가격으로 환산하여 합산한 것
입니다. GDP의 증가율이 곧 경제성장률
을 의미합니다. 따라서 GDP 추이를 보면 경제 규모와 경제 활성화 정도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. 보통 GDP 성장률이 높은 국가들을 보면 가나, 네팔과 같은 신흥국 들이 차지하고 있습니다. 현재 2019년 현재 한국은 러시아 다음으로 12위 권의 경제 규모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