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의성
은 하나의 언어 표현이 둘 이상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언어의 특성을 의미합니다. 중의성
은 어휘 중의성과 구조 중의성으로 구분됩니다.
어휘 중의성
- 동음 이의어 : 차를 준비했다. 1) 자동차를 의미하지만 2) 마시는 차를 의미하기도 한다.
- 다의어 : 오늘 아침 1) 아침에 일어 났어 2) 아침 먹고 나왔어
‘동음이의어(同音異義語; homonym)‘는 소리 같은 단어로, 어원도 다릅니다. 예를 들어 ‘차'는 마시는 차를 의미하기도 하지만, 소리가는 동일하지만 어원 자체가 다른 운송 수단인 ‘차'를 의미하기도 합니다. 반면, ‘다의어(多義語; polysemy)‘는 같은 어원에서 파생되어 여러 뜻이 있는 단어를 말합니다. 예를 들어 ‘아침때'를 가르키는 의미에서 파생된 의미로 아침 식사를 의미하기도 합니다.
구조 중의성
통사적 관계에서 나타나는 중의성입니다.
- 검은 우산을 쓰고 걷고 있는 아버지와 아들
- 나를 기분 좋게 하는 여름과 태양
첫 번째 예제에서 검은 우산을 쓰고 걷고 있는 사람이 아버지인지, 또는 아버지와 아들 모두인지 단정할 수 없습니다. 두 번째 예제에서도 마찬가지로, 나를 기분 좋게 하는 대상이 여름인지, 여름과 태양 모두를 가르치는지 단정할 수 없습니다.
중의성 해소
- 의미제약 : 배를 먹었다. 배를 탔다. 배가 아프다.
- 지식활용 : 바다 위의 배가 멋지다.
- 운율고려 : 철수가 서울에 갔어?(의문문), 철수가 서울에 갔어.(평서문)
세 가지 방식입니다. 첫 번째는 의미제약의 방법입니다. 배와 관련해 배가 어떤 배 인지를 구분하기 위해 동사 표현을 붙여 배의 의미를 제약하면 중의성을 해소 할 수 있습니다. 두 번째로 지식을 활용하는 방법입니다. 배는 바다 위에 떠 가는 특성이 있어, 운송수단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. 세 번째로 운율적 요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. “철수가 서울에 갔어?"(의문문)라고 물어본다면 서울에 갔는지, 안 갔는지에 대한 사실을 알 수 없습니다. 그러나 “철수가 서울에 갔어."(평서문)라고 물어본다면 철수가 서울에 갔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.